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폐지 그리고 K패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의 폐지 소식이 들려오면서 k-패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2024년 7월,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보다 단순하고 높은 적립률로 직장인, 학생들의 지갑을 지켜줄 k-패스!!! 혹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가 폐지되면서 k-패스로 자동 전환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 바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신청하고 쭈욱 K-패스까지 이용해 보시길 제안드립니다.

알뜰교통카드 폐지 그리고 K패스

 

목차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란?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이나 이후에 걷거나 자전거 등으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교통카드입니다.

대중교통비를 절감하고 자차 이용이 아닌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보행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주는 제도입니다. 대중교통을 타고 이동하는 거리가 아닌 실제 보행거리 기준으로 지급된다는 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이동거리는 최대 800m까지 인정되며 초과 거리는 마일리지 동일합니다. 대중교통 이용 금액에 따라 최대로 지급되는 마일리지 금액이 상이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동거리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최소 마일리지인 50원만 지급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일리지 지급 기준의 경우 2023년 7월 이전에는 최소 15회 이상 최대 44회까지 적용되었으나 알뜰교통카드 플러스로 바뀌면서 최소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지급됩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마일리지 적립은 출발-대중교통 승차 간 걸음 수로 거리를 측정하고 대중교통 하차-도착 간 걸음 수로 거리를 측정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앱을 다운로드하고 출근할 때 한 번 퇴근할 때 한번 눌러야만 적립이 가능합니다. 귀차니즘이 심한 분들은 이용하는 게 보통 쉬운 일은 아닐 것 같습니다.

카드 사용절차는 위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카드사

신한, 우리, 하나, 캐시비, 티머니, IM원패스, 삼성, KB국민, 현대, NH농협, 광주은행, 케이뱅크 BC카드 등이며 카드사별로 혜택 다양하니 비교하셔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카드발급 바로가기
 

 

참고로 ‘하나(Hana-BC) 알뜰 교통 마패’ 신용카드의 대중교통 청구할인율(20%)이 가장 높아 혜택이 크다고 하니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의

카드사별 실적에 교통비가 포함되지 않는 카드가 다수입니다. 전월 실적이 30만 원이라고 했을 때, 실적에 교통비가 제외되니 실제로 사용해야 되는 전월 실적이 40만 원 이상이 되는 상황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지출을 하지 않도록 카드 선택 시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장·단점

좋은 의도로 만들어진 사업이고 잘만 활용한다면 교통비를 많이 절약할 수 있을 테지만 마일리지와 마일리지 적립 기준만 봐도 알뜰교통카드 하아… 할말하않인데요. 복잡한 적립 방식에 귀찮은 것투성이로 내가 부지런한 개미가 아니라면 알뜰교통카드 이용이 망설여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알뜰교통카드 장점은 위에 사업 설명에 다 나와있어 패스)

  1. 월 15회 미만 이용시 적립금 모두 소멸
  2. 출발과 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 이동거리 확인 어려운 경우에 최소 마일리만 적립(적립방식 복잡)
  3. 신용카드 이용시 10% 카드사 할인 등 추가 혜택 가능하지만 해당 카드 사용은 물론 카드사별 실적 미충족시 부가혜택이 주어지지 않고 거기에 연회비까지 내야하는 부담 있음.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폐지 → K-패스 전환

K-패스

복잡하고 실효성이 다소 떨어지는 알뜰교통카드…

그래서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고 이동거리와 상관없이 이용금액을 기준으로 일정 적립률을 적용하는 K-패스가 새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K-패스는 적립 방식이 단순하고 높은 환급률을 자랑하는데요. 기존에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객들은 K-패스로 자동 전환된다고 합니다. 기존 이용객들은 바뀌는 내용을 알고 신규로 이용하실 분들도 알뜰교통카드 신청하여 이용하시다 K-패스로 자동 전환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K-패스(k-pass)

K-패스란?

한 달에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 할인 환급 받을 수 있는 지하철·버스통합권으로 2024년 7월 도입 예정인 제도

 

대상

한 달에 21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

 

주요혜택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을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

  • 일반인 이용요금의 20% 환급(연간 최대 21만 6000원)
  • 만 19-34세 청년 30% 환급(연간 최대 32만 4000원)
  •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53.3% 환급(연간 최대 57만 6000원)

⇒ 기존,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했을 때 1년에 3만 6000원~7만 2000원 정도 추가 할인 적용

 

사용가능 카드

  • 선불충전식
  • 후불형 체크카드
  • 신용카드(카드사 추가할인 10% 등 적용되면 혜택 더 커짐)

 

K-패스와 관련된 내용 추가되는 데로 추가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알뜰교통카드가 k-패스로 자동 전환되니 교통비 절약을 위해 알뜰교통카드를 미리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지하철 정기권으로 치킨 값 벌기

기후동행카드 연간 34만 원 할인?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폐지 그리고 k패스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이나 이후에 걷거나 자전거 등으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주는 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플러스 폐지 → k-패스 전환 적립 방식이 복잡하고 실효성이 떨어져 2024년 7월 폐지되고 k-패스로 자동 전환 예정
k-패스 한 달에 21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 할인 환급 받을 수 있는 지하철·버스통합권(2024년 7월 예정)

Leave a Comment